회사 서비스의 휴대폰 인증은 Firebase Auth를 이용한 문자인증으로 구현되어있는데, 개발 단계에서 프로덕트로 넘어갈 때 해당 기능의 명확한 limit 이나 가격정책을 짚고 넘어가야했다. 하지만 정작 문서에는 명확한 내용이 없어, firebase Group이나 Slack에 문의해봤지만 대답없는 메아리였을 뿐.. 결국 직접 구글측에 문의를 했고 답변을 받았다. 아래는 23년 1월 기준 답변을 바탕으로 작성한 내용이다.

Firebase 문서가 잘 되어있는 것 같지만, 가격 정책이나 제한 사항에 대한 정보는 빈약한 면이 있기 때문에 직접 구글에 문의를 해봐야 알 수 있었다.

요약

첫째, Spark 요금제로 보낼 수 있는 문자의 양은 하루 50건 제한이 있다.

둘째, Blaze 요금제 또한 하루 3,00건 제한이 있다.

셋째, 문자 전송 제한이 없는 Identity platform이라는 유료 옵션이 추가적으로 존재한다.

실제 프로덕트에 올라가야하는 것이다 보니, 실제 하루 제한량이 얼마나 되는지, 무료옵션으로 충분히 커버가 가능한 지 검증을 하는데 꽤나 애를 먹었다. 문서가 대놓고 헷갈리게 만들어져있기 때문이다.

23년 1월 기준, Price 페이지를 확인해보면 아래와 같다.

출처: 구글 파이어베이스, 가격정책 (https://firebase.google.com/pricing?hl=ko)

출처: 구글 파이어베이스, 가격정책 (https://firebase.google.com/pricing?hl=ko)

마치, Spark 요금제를 쓰면 월 1만 건 까지는 무료로 인증이 될 것만 같다. 와 정말 엄청나게 좋은데? 라고 생각할 수 도 있지만..

출처: 구글 파이어베이스 공식문서(https://firebase.google.com/docs/auth/limits?hl=ko)

출처: 구글 파이어베이스 공식문서(https://firebase.google.com/docs/auth/limits?hl=ko)

“전화번호 로그인 제한” 에 대한 문서는 Spark 요금제는 하루 50건으로 제한한다. 라고 적혀있다. 뭐지? 전화번호 로그인이 문자인증이랑 다른건가 ? 싶어서 다른 문서들을 봤지만, 결국 구글에 직접 문의하게되었다.

그 결과, Spark는 하루 50건의 제한량을 갖고있으며 Blaze 플랜 또한 하루 3,000건의 제한이 있어 서비스에 붙이기는 어렵다고 판단하였다.

하지만 구글의 Identity platform이라는 firebase의 기능을 그대로 쓸 수 있으면서 조금 더 비싼 요금제를 쓰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결론

결론적으로, 프로덕트 스테이지에 사용하는 Auth 기능은 Identity platform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차후 개발 스테이지에 사용하는 것은 당연히 spark 요금제로 진행하기로 결정했다.